이한기 이한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한기(李漢基,1917년 9월 5일 ~ 1995년 2월 2일 , 전남 담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관료, 법학자, 정치인이다. 감사원장 서리와 8대, 9대 감사원장을 역임했다. 1987년에는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했다. 서재필, 서재창의 이모부이..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8
南道 정자기행(13)- 문일정(聞一亭) 南道 정자기행(13)- 송림(松林)에 묻힌 문일정(聞一亭) 전남 담양군 창평면 장화리 우리가 사는 주변에는 선조들이 무엇인가 자신을 나타내 후손에게 알리려는 방법중에 한 곳 정자들이 산재하고 있다. 대부분 목조건축물로 오랜기간 유지가 어려움에도 정자를 지어냈다. 비바람이 불면 ..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8
전주 이씨 양녕대군파 추성수 문중 총람 전주 이씨 양녕대군파 추성수 문중 총람 http://blog.naver.com/kiwi1948 고산서원 장성군 http://rbs777_kr.blog.me/130038358025 담양 창평 장전이씨 고택(昌平 長田李氏 古宅)과 문일정 http://blog.daum.net/elegant0302/2346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석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석전문집 [ 石田文集 ] 석전문집조선 후기의 학자 이최선(李最善)의 시문집.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시문집 편저자 이최선 제작시기 1963년 권수·책수 4권 2책 간행·발행·발급자(처) 이광수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목차 정의 편찬/발간 경위 서지적 사항 내용 ..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8
조선말 전통혼례 상징 '혼서지' 발굴 -의병장ㆍ유학자 이최선이 1871년 3월14일 신부집에 보낸 편지 조선말 전통혼례 상징 '혼서지' 발굴 심정섭 민족문제연구소 자문위원 본보에 공개 의병장ㆍ유학자 이최선이 1871년 3월14일 신부집에 보낸 편지 폭 7칸에 장남 혼인 문제 正字로 언급…크기 60.2㎝×76.5㎝ 2014. 02.18(화) 18:07 심정섭 민족문제연구소 자문위원이 조선말 의병장ㆍ유학자인 ..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8
담양 녹색 오방길 담양녹색오방길은 사람과 자연의 교류, 사람과 사람의 교류, 사람과 마을의 교류를 통해 소통하는 관계를 맺는 여행이며 도시화, 획일화에 지친 도시인들의 정신과 육체의 휴식과 치유이자 잃어버린 자아를 찾는 치유와 회복이 있는 여행길이다. 또한 자연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3
3대에 걸친 의병항쟁, 노사 문하의 최고봉 석전 이최선 / 우리도 한번 쯤 문일정에 들러 나보다 더 낳은 이의 가르침을 들어 볼 일이다. 조선 후기는 대내외적으로 격심한 변화가 있었던 혼돈의 시기였다. 혹세무민의 세도정치와 이로 인한 삼정의 문란 등으로 민생은 도탄에 빠져 홍경래의 난, 진주민란 등 곳곳에서 민란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많은 유민들이 발생하였다. 또한 서양의 진출로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2.03
이승학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皋). 담양(潭陽) 장전리(長田里)에서 출생. 아버지는 진사 최선(最善),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기대(箕大)의 딸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이며,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이다. 이승학 [ 李承鶴 ] [네이버 지식백과]이승학 [李承..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1.26
이최선(李最善, 1825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사상가, 성리학자, 교육자였다 이최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최선(李最善, 1825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사상가, 성리학자, 교육자였다. 병인양요 때에는 의병을 일으켜 한성부로 달려가 관군을 지원하였고, 1877년에는 호남 지역에 대기근이 들자 가산을 털어 빈민과 걸인을 구제하였.. 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201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