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故鄕 長華里와 迎瑞堂의 빛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석전문집

장전 2015. 2. 8. 13:4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석전문집

[ ]

석전문집

석전문집조선 후기의 학자 이최선()의 시문집.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시문집
편저자 이최선
제작시기 1963년
권수·책수 4권 2책
간행·발행·발급자(처) 이광수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최선()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이최선의 아들 이승학()이 수습한 것을 이건창()이 교편()하고, 1963년 손자 이광수()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재규()의 서문, 권말에 이건창·정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연활자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는 시 121수, 권2는 책() 1편, 서() 13편, 논() 1편, 서() 3편, 발() 1편, 권3은 격() 2편, 제문 8편, 천표() 1편, 권4에 부록으로 서() 3편, 수묵() 1편, 만() 11수, 제문 11편, 행장·묘갈명·서장갈후()·묘지명·묘표·전()·시·발 각 1편, 통문() 3편, 고유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삼정책()」은 1862년(철종 13) 철종의 구언()에 그 대책을 밝힌 장문의 글로, 시폐()를 통박하고 백성의 폐해를 제거할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근본을 다스리고 근원을 맑게 하는 길은 기강과 염치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삼정()보다도 급선무로 생각하고, 세교()를 만회하는 대병()으로 삼았다.

「통고인읍제종문()」과 「격본도오십삼주제종문()」 등 2편의 격문은 모두 친척들에게 보낸 것이다. 서양 오랑캐의 침공은 국가 존망에 관한 중대사이므로 종인들이 뜻을 모으고 힘을 합쳐 나라의 어려움을 돕고 양이를 토벌하자는 내용이다.

서()는 시사와 예절에 관한 것들이다. 기우만()에게 답한 별지는 담사()에 관한 것이다. 스승인 기정진()에게 보낸 「상례차의()」는 스승의 사후사()를 염려해 상례 중 의심나는 점을 물은 것이다.

서() 가운데 「동의계안서()」는 1866년(고종 3) 프랑스인이 강화도를 침범했을 때 여러 고을에 통문을 보내 의병을 모집하고, 계를 조직하면서 쓴 글이다. 그밖에 기정진의 수묵은 1866년 저자가 의거에 참여한다는 소식을 듣고 격려한 편지와 시 및 서()이며, 「근보상노사선생()」이라는 시는 바로 이 시를 화운()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 후기의 국내 정치와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며, 조선시대의 정치, 특히 삼정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이미지 (2)

석전문집

석전문집조선 후기의 학자 이최선(李最善)의 시문집. 서문.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2
  • 석전문집
  • 석전문집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석전문집 [石田文集]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