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의 눈물을 부른 가수 이난영씨는 1916년생, 이한기박사는 1917년생이다. 아래글은 이한기박사님의 제자가 본인이 겪었던 일화를 소개한것인데,이를 통해 이한기박사님의 인간미(人間美)를 알 수 있기에 옮겨본다. (필자 注) 대학시절 은사이셨던 李漢基 교수님은 육중한 체구에 근엄한 표정으로 좀처럼 가까이 대하기가 부담스러운 분이셨다. 4학년때가 아니..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5.01.04
고도 200m에 올라가면 독도의 상당부분이 보인다고 이한기 교수는 반박하였다 이종웅 11월 18일 오전 9:16 · 일본학자들은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다음과 같은 수학공식을 대입한다. 지상이나 해상에서 시선이 닿을 수 있는 거리(시달거리)를 계산하는데 다음의 수식을 사용한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 D = 2.09 (root H + root h ) D : 시..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11.22
선친께서 일찌기 증명하셨던 내용 울릉도에서 독도 일출 첫 촬영…3년 만에 성공 | MBC 뉴스 ◀ 앵커 ▶ 울릉도에서 90km 떨어진 독도가 눈으로 보이는지가 영유권 문제의 중요한 변수입니다. 일본은 안 보인다, 그래서 일본 땅이라고 억지를 부려왔는데요. 한... imnews.imbc.com|작성자: Kim Sun ju(sunju@imbc.co.kr) 일본학자들은 울릉..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11.18
독도밀약설의 진실은? 밀약설 있더라도 내용 한국에 유리 독도밀약설의 진실은? 밀약설 있더라도 내용 한국에 유리 주간조선 입력 : 2014.04.11 21:54 | 수정 : 2014.04.12 10:20 공표되지 않은 조약은 무효…독도밀약설 내용도 한국에 유리 대한민국의 독도영유권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독도밀약’이다. 독도밀약이란 1965년 ..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07.04
이런 기막힌 사실을 국민이 모르고 있다 http://blog.chosun.com/kim79333/7305581 ※ 박정희 정권 때 1965년에 체결된 경계선은 독도가 우리 영토라는 것을 전제로 그은 것이고 ※1998년 김대중이 서명한 경계선은 독도가 우리 땅이 아니라는 전제 하에 그어진 선이다. 이런 기막힌 사실을 일반 국민들은 잘 모르고 있다. <박정희> 1965. 6. 2..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02.14
김혜경님이 2012년 6월의 게시물에 댓글을 달았습니다. 김혜경님이 댓글을 남겼습니다. 김종한‎김혜경 외할머님. 건강하시죠? 너무 오래 못 찾아 뵈어 송구스럽습니다.좋아요 취소 · · 1월 21일 오후 3:08 · 회원님이 좋아합니다. 이종웅 전화라도 자주 드리거라 1월 21일 오후 8:28 · "}' data-reactid=".4p.1:3:1:$comment813676158647989_8469513:0.0.$right.0...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01.25
아버지 : 이혁(李爀, 1897 ~ 1977), 초대 전남대 문리대학장을 지낸 이혁(李爀)과 윤선도 의 후손 해남윤씨(海南尹氏)의 아들로 이한기 의 사학자,서예가, 초대 전남대 문리대학장을 지낸 이혁(李爀)과 윤선도 의 후손 해남윤씨(海南尹氏)의 아들로 전남 담양군 ... 아버지 : 이혁(李爀, 1897 ~ 1977), 사학자, 서예가, 전남대학교 교수, 초대 전남대 문리대학장 ... 5 KB (510 단어) - 2013년 11월 20일 (수) 11:21 이한기 그는 수시..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01.21
이한기(李漢基,1917년 9월 5일 ~ 1995년 2월 2일 , 전남 담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관료, 법학자, 정치인이다. 이한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한기(李漢基,1917년 9월 5일 ~ 1995년 2월 2일 , 전남 담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관료, 법학자, 정치인이다. 감사원장 서리와 8대, 9대 감사원장을 역임했다. 1987년에는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했다. 서재필, 서재창의 이모부이..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01.21
이승학(李承鶴, 1857년 ~ 1928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을미사변 때의 의병장이다. 이승학 (1857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승학(李承鶴, 1857년 ~ 1928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을미사변 때의 의병장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자화(子和)이고, 호는 청고(靑皋)이다. 전라남도 담양 창평 출신이다. 어려서 아버지 이최선의 스승이.. 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01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