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217

대마도가 왜 한국의 영토임을 주장하지 않는가 ?

韓國의 領土 序文 “명명백백한 자국의 영토도 주장하지 않는 자에게 돌아오지 않는다.” 우리의 영토임이 확실한 독도를 일본은 제 나라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는가 하면 우리가 주장하여 찾아 내야할 간도 땅도 있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만이 이론인 것은 아니다. 오늘에 불가능한 것이라고 명일..

독도-가시거리 공식으로 증명한 세종실록 기록

http:/ 갤로거 시모조마사오 제 목 독도에서 바라본 울릉도 사진 2장 --> 일본-발해 뗏목 탐사 중 전복되 고인이 된 분들이 찍은 사진입니다. by 김철환 울릉도, 독도 소식 http://www.ullungdo.com/spboard/board.cgi?id=mainboard&action=view&mode=mod_etc&gul=5751&num=0&go_cnt=3 by 김철환 http://blog.naver.com/cms1530/10015069776 김씨는 맑은 ..

일본의 주장에 대한 이한기 교수의 반론

일본의 패망과 독도의 원상 회복 독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체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한 때로부터 33년 3개월 정도가 지난 1943년 11월 하순에 미국과 영국 및 중국의 정상들은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서 회담을 갖고, 일본과 독일 및 이탈리아 등 추축국이 일으켜 현재 진행중인 재2차 세계대전..

[스크랩] 대한제국이 간도를 전략적으로 외면한 이유

대한제국이 간도를 '전략적'으로 외면한 이유 '대한신지지부지도(大韓新地志附地圖)' 철판본(1907)에 실린 대한전도. 북간도가 함경북도 내에 포함돼 있다. 19세기 후반 조선은 간도를 분명한 자국영토로 인식했다. 1885년과 1887년 청(淸)과의 국경회담 당시 조선은 불리한 정치상황에도 불구하고 간도에 ..

[스크랩] 대마도는 한국땅이었다

대마도 논쟁 , 역사적 관점 쓰시마 섬으로 불리는 대마도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 통신사등 외교적 활동이 활발했던 곳 중의 하나이다. 대마도는 남북으로 72km, 동서로 16km인 길쭉한 모습의 두 개 섬이다. 총면적은 714㎢. 이 섬은 일본보다는 한국에 가깝다. 한국 남단에서는 53km, 일본 규슈(九州)에서는 147..

저스티스 74호 대구지방법원 판사 김춘천

저스티스 74호 대구지방법원 판사 김춘천 국가의 동의에 근거하지 않고 구속적 효력을 가지지 아니하거나 불완전한 구속력밖에 가지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규칙 내지 제도가 국제법규범의 영역 안으로 점차 편입되고 있다. 특정한 국제문제에 관한 규칙의 형성은 국제법적 차원에서, 그 이행 및 적용..

일본의 옛 기록들에 나타나는 독도

일본의 옛 기록들에 나타나는 독도 일본의 옛 기록들에 나타나는 독도 이제까지 우리는 독도에 관한 우리쪽의 문헌들을 살폈다. 그러면 일본쪽의 문헌들은 독도를 어떻게 다뤘는가? 독도에 관한 일본의 기록들 가운데 최초의 것은 1667년에 편찬된 『은주시청합기』이다. 1667년은, 우리 입장에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