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농담/황진선 특임논설위원
서울신문 | 입력 2011.02.07 03:38
소설가 박완서씨는 작고 전에 "멀지 않은 곳에 김수환 추기경의 묘소가 있는 게 저승의 큰 '빽'이다.
…실없는 농담 말고 후대에 남길 행적이 뭐가 있겠는가."라고 말했다고 한다.
"우물쭈물하다가 이렇게 될 줄 알았다."는 영국의 작가 조지 버나드 쇼의 묘비명을 연상하게 한다.
죽음을 앞두고 두려워하거나 슬픔에 잠겨 있는 것보다 농담을 하면 스스로 초연해질 수 있을 듯싶다.
주변 사람도 편안한 마음으로 보낼 수 있게 한다.
임종을 앞둔 사람들이 떠올리는 행복한 순간은 즐겁게 놀았던 때다.
그러면서
"그렇게 심각하게 살지 않았어야 하는 건데…." 하고 후회한다고 한다.
잠언시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은 자신의 육체와 단단한 생명력을 즐기지 못한 것을 아쉬워한다.
춤을 추지 못하고 입맞춤을 많이 하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
요즘 즐겁게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우리는 더 농담을 하고 덜 고민하고 덜 초초해해야 한다.
농담과 익살은 열린 마음을 갖게 한다.
나이가 들수록 더 그렇다.
드보르자크 / ♬보헤미아의 숲에서
(From The Bohemian Forest, Op.68)
1. In The Spinning Room. Allegro Molto [D Major]
'별처럼 바람처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을 기다리며 /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 (0) | 2011.02.07 |
---|---|
봄이 오는 소리/라흐마니노프 / 라일락, Op. 21 No.5 (0) | 2011.02.07 |
완장 찬 민노당 이숙정 시의원의 행패를 보면서 /how you journey (0) | 2011.02.06 |
세상 가장밝은곳에서 가장빛나는목소리 (0) | 2011.02.04 |
유머의 힘.../내가 만일-안치환 (0) | 201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