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김산 선생 등 독립운동가 214명 포상

장전 2007. 10. 7. 22:42
김산 선생 등 독립운동가 214명 포상
국가보훈처, 광복 60주년 광복절 맞아 명단 발표
2005년 08월 03일 (수) 15:49:00 데스크 tongil@tongilnews.com
정명진 객원기자 (tongil@tongilnews.com)


광복 60년 광복절을 맞아 김산(본명 장지락), 김철수, 김태연 선생 등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들의 독립투쟁 활동과 업적이 국가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국가보훈처는 3일 광복60주년을 맞아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47명을 포함해 214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독립유공자로 선정하고 명단을 발표했다.

특히,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된 김산(1905-38)선생은 1941년 간행된 님 웨일스의 '아리랑' 주인공으로 1984년 번역본이 국내 발간되면서 지식인과 활동가들에게 널리 알려졌지만, 한때 실존인물 시비가 있을 정도로 남과 북에서 잊혀진 혁명가로 평가 받아왔다.

김산 선생은 1920년 중국 상해 임정 기관지「독립신문」의 교정원으로 있으면서 흥사단 활동을 하였으며 1924년부터 사회주의를 독립운동의 한 방편으로 삼아 1924년 고려공산당 북경지부 설립, 1926년 조선혁명청년동맹 중앙위원과 의열단 중앙집행위원 및 선전부장으로 활동했고, 1927년 중국본부 한인청년동맹 광동 대표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1936년 조선민족해방동맹을 결성해 항일투쟁을 전개한 인물이다.

그 외에도 1926년 조선공산당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한 김철수(1893-1986) 선생, 1924-34년까지 조선청년총동맹 중앙집행위원으로 러시아.중국 등을 오가며 활동한 김태연(일명 김단야, 1900-38)선생, 조선혁명군 중대장으로 중국 봉천에서 일본군과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최윤구(1903-38)선생 등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들이 국내와 중국, 만주 등지에서의 항일운동이 인정되어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이번 광복절 포상에는 지난 3.1절 여운형 선생의 추서 이후로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가 상당수 포함되어 이들에 대한 남한정부의 재평가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광복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의 훈격은 건국훈장 77명(독립장 6, 애국장 25, 애족장 46), 건국포장 60명, 대통령 표창 77명 등이며, 생존자는 10명이고, 여성은 2명이다. 건국훈장의 최고 훈격은 대한민국장이며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등의 순서로 훈격이 나뉘어진다.

한편, 광복 60년을 맞아 3.1절 계기 165명, 8.15계기 214명 등 총 379명이 포상되며 앞으로 순국선열의 날까지 포상하면 500여명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제 60주년 광복절 계기 독립운동 포상자 명단

□ 건국훈장 독립장(6)
김철수(金綴洙 국내항일) 김태연(金泰淵 국내항일) 김한(金 翰, 중국방면) 정헌태(鄭憲台, 국내항일) 최윤구(崔允龜, 만주방면) 한위건(韓偉健, 중국방면)

□ 건국훈장 애국장(25명)
임상영(林相永, 의병), 장지락(張志樂, 중국방면) 정운해(鄭雲海, 국내항일) 차재문(車在文, 의병) 한성도(韓聖島, 광복군) 한영팔(韓永八, 국내항일) 홍대우(洪大宇, 3.1운동) 강창규(姜昌奎, 국내항일) 강택진(姜宅鎭, 국내항일) 김국민(金國敏, 국내항일) 김병준(金秉濬, 3.1운동) 김운선(金雲仙, 의병) 김종구(金種耉, 중국방면) 박상하(朴相夏, 미주방면) 박용태(朴龍泰, 중국방면) 박정양(朴貞陽, 국내항일) 방성묵(方聖默, 3.1운동) 송병채(宋炳寀, 학생운동) 신병선(申秉善, 의병) 신운석(申運錫, 의병) 신재홍(申才弘, 국내항일) 신현대(申鉉大, 만주노령) 양열묵(梁烈默, 의병) 원재룡(元在龍, 만주방면) 이기상(李起商, 의병)

□ 건국훈장 애족장(46명)
강창거(姜昌擧, 국내항일) 김계진(金季鎭, 국내항일) 김관옥(金觀玉, 국내항일) 김두화(金斗和, 국내항일) 김봉호(金鳳鎬, 국내항일) 김선생(金善生, 국내항일) 김성수(金成洙, 국내항일) 김숙훈(金淑壎, 국내항일) 김영채(金永采, 의열투쟁) 김종림(金宗林, 미주방면) 박병수(朴秉壽, 국내항일) 박영규(朴英圭, 3.1운동) 박현찬(朴賢燦, 의병) 손문익(孫汶翼, 국내항일) 송재필(宋在弼, 학생운동) 신현철(申鉉喆, 3.1운동) 안성연(安成連, 국내항일) 오귀룡(吳貴龍, 국내항일) 오병윤(吳秉允, 국내항일) 오병훈(吳炳訓, 의병) 오윤환(吳倫煥, 임시정부) 윤영석(尹永碩, 학생운동) 이근형(李瑾衡, 국내항일) 이기명(李基明, 3.1운동) 이 담(李 覃, 3.1운동) 이덕우(李德宇, 학생운동) 이도재(李道在, 3.1운동) 이동개(李同介, 국내항일) 이명봉(李明奉, 3.1운동) 이상암(李相岩, 국내항일) 이세영(李世榮, 의 병) 이찰수(李刹修, 3.1운동) 임용태(任龍泰, 국내항일) 임준철(林俊哲, 3.1운동) 조문환(曺文煥, 국내항일) 진병기(陳秉基, 국내항일) 채규연(蔡奎淵, 국내항일) 채재오(蔡載五, 국내항일) 최금경(崔金莖, 국내항일) 최우겸(崔祐謙, 국내항일) 최우석(崔禹錫, 3.1운동) 최은석(崔恩晳, 국내항일) 최장부(崔長富, 3.1운동) 한명석(韓命錫, 국내항일) 홍대후(洪大厚, 의병) 황운정(黃運正, 노령방면)

□ 건국포장(60명)
이종기(李鍾基, 국내항일) 이철주(李鐵柱, 학생운동) 이회원(李會源, 국내항일) 임노복(林魯福, 의병) 장병옥(張炳玉, 국내항일) 정성기(鄭聖基, 국내항일) 정순학(鄭淳學, 의병) 조용관(趙容寬, 국내항일) 최성옥(崔成玉, 3.1운동) 한동직(韓東直, 의병) 황계주(黃啓周, 일본방면) 권중혁(權重爀, 국내항일) 김갑곤(金甲坤, 국내항일) 김노헌(金魯憲, 의병) 김두상(金斗相, 의병) 김두성(金斗星, 3.1운동) 김병문(金秉文, 국내항일) 김복철(金福哲, 의병) 김봉성(金鳳性, 3.1운동) 김영상(金永祥, 국내항일) 김용규(金溶圭, 국내항일) 김은석(金恩錫, 일본방면) 김주노(金宙魯, 국내항일) 김홍규(金洪奎, 국내항일) 김희곤(金希坤, 국내항일) 노병욱(盧炳旭, 국내항일) 박봉길(朴奉吉, 국내항일) 박영근(朴英根, 국내항일) 박정선(朴正善, 3.1운동) 박주학(朴周學, 의병) 박주한(朴柱翰, 국내항일) 배효원(裵孝源, 국내항일) 변인규(卞仁圭, 의병) 부덕량(夫德良, 국내항일) 부장환(夫章煥, 일본방면) 성주복(成周復, 3.1운동) 심관지(沈灌之, 의병) 심능규(沈能奎, 의병) 심의봉(沈宜鳳, 의병) 심의식(沈宜植, 의병) 안병구(安秉九, 학생운동) 안병두(安秉斗, 국내항일) 안학순(安鶴淳, 국내항일) 양동묵(梁東默, 의병) 양방매(梁芳梅, 의병) 양상길(梁相吉, 의병) 양수묵(梁壽默, 의병) 양창묵(梁昌默, 의병) 양태묵(梁台默, 의병) 어경선(魚敬善, 의병) 어상선(魚上善, 국내항일) 어윤석(魚允奭, 의병) 원용정(元容正, 의병) 유영석(柳寧錫, 의병) 윤억병(尹億炳, 국내항일) 이규해(李圭海, 의병) 이선구(李善求, 의병) 이수일(李壽逸, 국내항일) 이승학(李承鶴, 의병) 이안호(李安鎬, 국내항일)

□ 대통령표창(77명)
고규주(高圭柱, 국내항일) 곽재석(郭在石, 학생운동) 권상학(權相鶴, 국내항일) 권태응(權泰應, 학생운동) 김가봉(金加奉, 3.1운동) 김기세(金基世, 3.1운동) 김달곤(金達坤, 애국계몽) 김동렬(金棟列, 국내항일) 김병제(金柄濟, 3.1운동) 김사봉(金思鳳, 3.1운동) 김소용(金蘇用, 3.1운동) 김시태(金時兌, 국내항일) 김용환(金用煥, 국내항일) 김윤구(金崙求, 3.1운동) 김재락(金載洛, 3.1운동) 김정배(金貞培, 3.1운동) 김현기(金顯基, 3.1운동) 남광호(南光鎬, 3.1운동) 남 장(南 璋, 국내항일) 노천목(盧千木, 3.1운동) 마선항(馬善恒, 국내항일) 문명진(文明鎭, 국내항일) 박봉운(朴奉云, 3.1운동) 박봉조(朴奉朝, 3.1운동) 박삼용(朴參容, 3.1운동) 박인생(朴仁生, 학생운동) 박재영(朴在永, 3.1운동) 박종남(朴鍾南, 3.1운동) 박홍기(朴泓基, 3.1운동) 방재구(方在矩, 3.1운동) 배장실(裵長實, 국내항일) 배종철(裵鍾哲, 국내항일) 백인렬(白仁烈, 학생운동) 백진우(白鎭禹, 학생운동) 성축용(成丑鏞, 학생운동) 송석규(宋錫圭, 3.1운동) 송석지(宋錫智, 3.1운동) 신태동(申泰東, 3.1운동) 심재순(沈載洵, 일본방면) 유영환(兪永煥, 3.1운동) 윤기원(尹起遠, 3.1운동) 윤동일(尹東一, 학생운동) 윤상은(尹相殷, 3.1운동) 윤영하(尹榮夏, 3.1운동) 이광헌(李光憲, 3.1운동) 이규태(李圭태, 3.1운동) 이병철(李炳哲, 국내항일) 이서규(李瑞圭, 3.1운동) 이우상(李雨相, 3.1운동) 이인춘(李仁春, 3.1운동) 이일순(李一淳, 3.1운동) 이주택(李柱宅, 3.1운동) 이태성(李泰成, 미주방면) 이학우(李鶴羽, 국내항일) 이효종(李孝鍾, 국내항일) 장출봉(張出鳳, 3.1운동) 장 휴(張 烋, 3.1운동) 장희순(張喜順, 학생운동) 정국조(鄭國朝, 3.1운동) 정보한(鄭輔漢, 학생운동) 정학조(鄭學朝, 학생운동) 정해붕(鄭海鵬, 학생운동) 조규명(趙圭明, 의병) 조기섭(趙璣燮, 국내항일) 조영진(曺永鎭, 학생운동) 조옥제(趙玉濟, 학생운동) 조태연(趙台衍, 국내항일) 진옥련(陳玉鍊, 3.1운동) 진자미(秦者味, 학생운동) 최숙석(崔肅石, 3.1운동) 최종근(崔鍾根, 학생운동) 한낙연(韓樂然, 임시정부) 한복룡(韓福龍, 3.1운동) 한칠석(韓七錫, 학생운동) 함호용(咸鎬墉, 미주방면) 현진건(玄鎭健, 국내항일) 황노원(黃魯元, 3.1운동)

(자료제공-국가보훈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