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 어수리. 이를 한편 "만주독활" 이라고도 칭한다.
Family : 산형科 어수리屬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Orign : 한국
전세계에 70여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1종만이 있을뿐이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약용으로도 쓰인다.
높이 70~150cm 정도로 성장하며, 원줄기는 속이 빈 원주형이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큰 털이 있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피며, 가지와 원줄기 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20~30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25~30개의
꽃이 각각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화서 주위의 꽃은 보다 크고 바깥쪽 꽃잎은 안쪽 꽃잎보다 훨씬 크다.
그 중 1개는 2개로 깊게 갈라져서 퍼지고 갈라진 중앙부에 있는 작은 조각이 안으로 꼬부라진다.
(즉, 꽃잎은 보통 크기가 고르지 않음). 수술은 5개.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 |||||||||||||||
|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70∼150cm이며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로 줄이 있으며 거친 털이 있고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며 털이 있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며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끝에 달린 작은잎은 심장 모양이고 3개로 갈라지며, 옆에 달린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가 7∼20cm이며 2∼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을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20∼30개의 꽃자루가 다시 작은꽃자루로 갈라져서 각각 25∼30개의 꽃이 달린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달린 꽃이 가운데에 달린 꽃보다 크다. 꽃잎은 6개이고 크기가 서로 다른데, 바깥쪽의 꽃잎이 안쪽 꽃잎보다 크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길이 7mm의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윗부분에 독특한 무늬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독활(獨活)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바람과 추위 또는 습기 때문에 생긴 근육통·관절염·요통에 효과가 있고,
피부가려움증·종기·두통·오한·발열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
포한다.
어수리는 미나리과의 다년초로 산야에서 비교적 흔히 자라며 어린 순은 나물로 사용하고 성
초는 한약의 백지의 대용품으로 사용된다.
일월산 준령 무공해지역에서 재배되는 어수리는 독특한 향취와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
부한 자연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당뇨, 신경통, 관절염, 노화방지에 뛰어난 효능이
있다.
어수리 초회
미나리와 비슷한 모양의 어수리는 각종 무기질과 섬유질, 비타민이 풍부한 채소이다.
5월이 지나가기 전 봄철에 어린 순을 먹는데 향이 좋기로 소문이 난 향채의 일종이다.
뿌리 부분에는 요통과 두통, 신경통, 감기, 당뇨, 노화 방지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
다.
재료: 어수리 200g
초고추장 양념 고추장·꿀 2큰술씩, 현미 식초·배즙 1큰술씩, 레몬즙 ½큰술, 다진 마늘 1
작은술, 깨소금·참기름 약간씩..
● 만들기
어수리는 연한 잎으로 골라 다듬어 씻어 물기를 빼고 분량의 초고추장 양념을 넣어 골고
루 버무린다.
'정보-영농, 전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산마늘 재배 (0) | 2006.09.23 |
---|---|
[스크랩] 산마늘 재배특성/ 효능/재배방법 (0) | 2006.09.23 |
[스크랩] 작두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 작두콩 (0) | 2006.09.23 |
허태풍님의 체험 농장 작물 (0) | 2006.09.19 |
[스크랩] 별이네 야콘농장(경북 청송)- 체험현장 (0) | 200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