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 작두콩
작두콩이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서 줄기에 털이 없고 열매가 활 모양으로 작두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구황 본초학에서는 도두(刀豆)라 한다. 고려시대 왕실에서 약재 또는 식품으로 사용되어온 왕실 작물이었으나 조선시대 고려 말살정책으로 인하여 재배가 금지되어 일제 강점기 때 거의 멸종위기에 처했던 순수 토종 전통 식물로서 옛날에는 우리나라에 더러 심었으나 요즘은 거의 심지 않아 아는 사람이 드물다. 잎은 세 개의 달걀 모양 쪽잎으로 된 겹잎으로 광저기 잎을 닮았으나 그보다 조금 길고 더 크다. 6∼8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보라색 꽃이 나비 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꼬투리로서 먹는 콩 중에서 제일 큰 콩이다. 씨앗 한 개가 길이 2∼3.5cm,넓이1∼2cm, 두께 0.5∼1.2cm,무게 1.5∼3g이나 된다. 씨앗의 배꼽길이가 씨길이의 4분의3이나 되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작두콩은 그 빛깔이 붉은 것, 휜 것, 검은 것 등이 있으나, 흰 것이 대체로 약효가 더 낫다고 한다. 작두콩은 약효가 놀랍도록 뛰어나면서도 다양하다. 이러한 작두콩(刀豆)의 용도는 중국에서는 예부터 한약 재료와 고급 요리 재료로 쓰였고 일본에서는 각종 음료수와 건강식품으로 개발되어 약국에서까지 판매되고 있으며, 농 체액 정화 능력(膿 體液 淨化 能力) 작용이 잘되어 노화예방 뿐만 아니라 암 및 모든 염증성 질환과 더불어 아토피성 피부염까지 치료가 되었다고 발표 되었다. 민간요법에서는 축농증치질, 치조농루, 중이염, 종기 등 화농성질병 즉 고름이 나오는 병에 으뜸으로 꼽을 만한 명약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을 소개하면 (농산물은 치료약이 아님을 밝혀둔다) ◈ 치조농루, 구내염 ☞작두콩은 이뿌리에서 고름이 나와서 칫솔질하기가 어렵고 입 안에서 냄새가 나는 증세에 효과가 좋다. 작두콩 차를 마시되 마시기 전에 입 속에서 입가심을 한 뒤에 삼키도록 한다. 심한 치조농루에 좋다. ◈치루, 치질 ☞작두콩을 가루 내어 먹거나 차로 마시면 심한 치질, 치루에 좋다. ◈축농증, 비염, 중이염 ☞작두콩은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뛰어나고 신체의 면역력을 키워주기 때문에 갖가지 종기나 화농성 질병에 좋다. ◈위염, 위궤양, 장염, 장궤양 . ☞작두콩은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체한 것을 내리며 뱃속을 편안하게 한다. ◈천식 ☞작두콩은 가래와 기침을 삭이는 작용이 있어 오래 고생하던 천식에 좋다. ◈관절염, 신허요통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이수작용이 있으므로 관절염, 신허요통, 변비, 비만증 등에 두루 좋다.
친환경 우리농산물 “순우리장터" http://www.순우리.com / http://www.soonur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