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親과 獨島, 先代 對日 抗爭의 記錄

[스크랩] 대한제국이 간도를 전략적으로 외면한 이유

장전 2008. 7. 1. 10:06
대한제국이 간도를 '전략적'으로 외면한 이유


'대한신지지부지도(大韓新地志附地圖)' 철판본(1907)에 실린 대한전도. 북간도가 함경북도 내에 포함돼 있다.

19세기 후반 조선은 간도를 분명한 자국영토로 인식했다. 1885년과 1887년 청(淸)과의 국경회담 당시 조선은 불리한 정치상황에도 불구하고 간도에 대한 영토권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1897년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꾼 뒤 간도 영유권 주장은 더욱 강화됐다. 1898년 함경북도 관찰사 이종관은 토문강-송화강-흑룡강 국경설을 주장하며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보고서를 올렸다.

또 1901년 대한제국 정부는 회령에 변계경무서(邊界警務署)를 설치해 간도 한인을 보호ㆍ관할했으며 1902년에는 이범윤을 간도시찰사로, 이듬해에는 간도관리사로 임명해 간도를 관리하게 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간도 영유권을 주장하던 대한제국 정부는 정작 1909년 청과 일본 사이에 간도의 청국령을 인정하는 간도협약이 체결될 때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불과 수 년 사이에 간도에 대한 대한제국 정부의 태도가 돌변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창원대 이성환 교수는 16일 창원대에서 열리는 부산경남사학회 주최 학술대회에서 '통감부 지배정책기의 간도인식'이라는 발표문을 통해 1905년 이후 간도에 대한 대한제국 정부의 무관심은 '전략적 외면'이었다고 주장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당시 가장 민족주의적이며 반일적 매체였던 '대한매일신보'의 간도문제 보도를 중심으로 1900-1910년 대한제국의 간도 인식 변화를 분석했다.

대한매일신보에 간도 문제가 처음 제기된 것은 1906년 8월12일자의 '간도문제'라는 논설이다. 논설은 간도의 한국 영유설을 강력히 주장하면서 '일본은 해지(該地.이땅)에 호말(毫末.털끝)이라도 간섭할 권한이 무(無)한지라'라고 결론을 맺는다.

1907년 9월21일의 '북간도'라는 논설에서는 "일진회의 사주로 진출한 일본이 청국과 교섭해 국경을 확정할 것이나 간도는 한국의 영토인 것이 당연하며 간도의 조선인은 결코 일본의 보호를 원치 않는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후 대한매일신보는 한국의 간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논설을 일관되게 게재했다.

그러나 1907년 12월의 '간도사건'이라는 논설에서부터 간도 영유권 인식에 중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간도가 실로 청국령이라 할만한 사실은 증거가 많이 있거늘 강박히 고집하야 원수를 짓고 싸움을 구하는 불같은 욕심을 뵈이는 듯하도다'

1908년 2월6일 '간도'라는 논설에서는 결국 간도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을 완전히 인정하기에 이른다.

'평화정책으로 하자면 그 땅에서 청국의 주권을 허락하는 외에는 별로이 다른 계책이 없는데 이등공작(이토 히로부미)이 지금 이렇게 급속히 하는 태도는 어떠한 이유인지 우리는 알기 어렵도다'

간도문제 해결의 실적을 보이기 위해 이토는 일본 정부를 재촉하고 있으나 간도는 중국의 영토로 인정할 수밖에 없으며 한인이 실제로 박해를 받고 있는지도 알 수없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일본의 간도 진출을 한국의 영토문제 해결을 위한 것이 아니라 또 하나의 침략행위로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비록 몇 년 전까지도 간도 영유권을 강하게 주장했으나 한국 영토문제 해결을 내세우며 간도 진출을 꾀하는 일본을 옹호할 경우 일본의 한국침략 마저 정당화할 수 있어 간도에 대한 인식이 급변하게 됐다는 것.

이 교수는 대한제국 정부 내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파악된다며 1906년 참정대신 박제순이 이토 히로부미에게 간도에 일본 관리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한 공문서를 근거로 들었다.

박제순의 요청서는 '안(按)컨데 한청조약 제12관에 변민으로 이미 월간(越墾)한자는…'이라는 문구를 담아 간도를 한청통상조약 제12조의 적용지역으로 보고 있다.

이는 간도 한인은 '월경한 자'이며 간도는 조선의 경계 밖으로 본다는 의미다.

청국영토인 간도에 일본 관리를 파견해 달라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자 대한제국 정부의 의지에 따른 요청이 아니라는 뜻을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이다.

결국 을사조약 체결 이후 대한제국 정부와 한국인의 간도에 대한 태도가 돌변한까닭은 '한반도 전체가 일본의 지배하에 놓인 상황에서 간도 영유권을 확보할 지라도 일본의 영토를 확장하는 결과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교수는 "논리의 비약을 허용한다면 간도가 항일운동의 근거지가 된 당시 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청나라의 영토가 되는 것이 항일운동에 유리하다는 전략적인인식도 반영됐을 수 있다"고 추론했다.

그는 이어 "당시의 간도 인식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대단히 부정적으로 읽힐 수도 있다"며 "반드시 시대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오해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 쑹샤오핑중국노트
글쓴이 : 송소평중국노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