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영농, 전원

[스크랩] 야콘 (yacon)-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장전 2007. 9. 21. 05:28

중추가절 ,한가위를 앞두고

제주도를  포함하여 ,중부지방에  많은 비바람이  불었고

또한 내리고 있습니다.

태풍의 영향권에서  안전할수 있는 동식물은  없습니다.

안전사고의 대비와 손실에대한  대책준비가 이 가을에 할수있는 유일한 방안입니다.

 

아래글은

요즘 한창 구근이 비대해지는  야콘을 알아봅니다.

 

 

 

1.야콘이란

 

  사야콘은 중남미 안데스 고지가 원산인 국화과 다년초로서
학명은 Samallanthus sonchifolius라고 합니다.
원산지는 안데스 산악지대(해발900-3,300미터. 평균2,000미터)
이며 적어도 잉카제국(14세기경)시대부터 재배되었고
원산지에서는 과일과 나란이 놓고 팔정도로 과일로 여기기도 합니다...
  야콘은 원산지 및 다른 나라에서도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원산지
야콘의 이름
볼리비아.페루
 
Aricoma.aricuma
페루.볼리비아.아르헨티나
 
Llaqon.llacum.yacon
에콰도르
 
Jicama.jiquima.jiquimilla
콜롬비아
 
Arboloco
프랑스
 
poire de terre
영국
 
yacon strawberry
일본.한국.미국.페루 등
 
yacon
  공식적으로는 1985년 일본의 한 종묘회사가 뉴질랜드로부터 구입하였고 같은 해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에서 일본으로부터 들여와 1986년부터 2년간 시험재배를 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그 후 강원도와 경북, 충북지역의 농가들에 의해 재배되어 왔으며 현재는 일반인에게도 많이 알려져 전국의 여러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습니다.
  야콘의 잎은 화살촉 모양으로 해바라기 잎과 비슷하게 크게 자라며 줄기는
국화과라고 하더라도 성장하면 초장(草丈)이 150-200cm에 달합니다.
원산지에서는 고대부터 잎과 줄기를 민간요법으로 차를 만들어 음용하였으며
현재도 현지 및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잎과 줄기의 성분 및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야콘의 괴근은 성장하면서 고구마와 흡사한 괴근을 한 주당 1-6kg정도 형성합니다.
고구마와 흡사하지만 배처럼 아삭아삭하며 단맛이 있어 과일과 같습니다.
전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으며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대부분 당질입니다. 특히 수확직후의 야콘괴근은 단맛이 거의 없으며 이때 당질의 대부분이 프럭트올리고당입니다.
수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프럭트올리고당은 자당 및 과당, 포도당으로 가수분해되어 단맛이 생겨나게 됩니다.

 

 

 

2.야콘의 성분

 

성분
야콘괴근
야콘잎
일본 식품
분석센터 조사
에히메현
공업기술센터 조사 
일본 식품
분석센터 조사
수분
86.4g   
83.1g
 
단백질
0.8g
1.0g
12.8g
지방질
0.6g
0.1g
2.9g
섬유
0.5g
0.9g
18.3g
회분
0.6g
1.1g
 
당질
11.1g
 
13.8g
 
36.8g
(주요한 성분이
프럭토올리고당)
(주요한 성분이
프럭토올리고당)
(주요한 성분이
프럭토올리고당)
에너지
54kcal
   
22.2mg
34mg
416mg
0.26mg
0.2mg
24.5mg
아연
   
30.7ppm
망간
   
66.3ppm
마그네슘
   
551mg
칼슘
14.1mg
12mg
905mg
나트륨
0.36mg
0.4mg
10.7mg
칼륨
271mg
344mg
4,970mg
카로틴
0.04mg
130ug
 
비타민 A
20TU
   
비타민 B1
0.06mg
0.07mg
 
비타민 B2
0.01mg
0.31mg
 
비타민 C

 7mg

5mg
 
식물 섬유
 
2.6g
 
폴리페놀
 
203mg
 
타닌
   
2.99g

참고자료 : 츠키하시테루오, 기적의 건강야채 야콘, 일본 광제당, 1999.

 

 

사람은 장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하려면 하루에 5~10그램의 올리고당을 섭취해야 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올리고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하는 우엉으로 이것을 섭취하려고 하면 약 280 g(약 2개)을 먹어야 합니다. 그러나 야콘으로 올리고당을 섭취한다면 100g로 해결됩니다. 효율적으로 프럭토올리고당을 섭취할 수 있으므로 늘 장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3.야콘의 사계

 

 
 
캐기 좋게 줄기를 제거했죠.
야콘 줄기는 성장하면서 줄기의 갯수가 한개에서 많이 늘어납니다.
한가지에서 아래의 사진처럼 대략 5-15개쯤 생깁니다.
 

잔뿌리도 많죠.
 
 
야콘 괴근을 떼어내고 잔뿌리를 제거하면
땅속 줄기부분에 야콘 뇌두가 모습을 나타내죠.
 

또다른 야콘 뇌두 모습입니다.
야콘 괴른을 떼어낸 자국이랑 뇌두에서 막 올라오는 새싹이 보이죠
 
 
뇌두가 겨울동안 얼지 않도록 땅속에 묻고 있죠.
 

뇌두를 묻을때 겨울에도 상태를 확인해 볼려고 한쪽 일부는 모래로
덮죠.
겨울에 파헤쳐 뇌두 상태를 관찰할때 용이하도록....
 
 
흙으로 뇌두를 덮고 그위에 부직포를 덮죠.
비닐하우스 안에 뇌두를 묻는 관계로 땅을 좀 얇게 팠죠.
 

겨울을 지난 뇌두는 2월말이나 3월초에 비닐하우스 속에서 땅속에
싹을 틔우려고 묻죠.
 
 
땅속에 야콘뇌두를 묻고 약 15일 정도후 부터 싹이 올라오기 시작하죠.
땅을 뚫고 고개를 내민 야콘 싹들이 보이기 시작하죠.

 

야콘 싹이 더 자란 모습입니다. 좀 더 자란 후 물을 흠뻑 주고 땅이
촉촉히 젖었을때 야콘 묘를 뽑아 올리면 뿌리채 달려 뽑혀지죠.
이것을 약 2주간 가식해 놓고 뿌리를 더 내리게 하죠.

 
 
뇌두에서 어느정도(10-15cm) 자란 야콘 묘를 가식하여 뿌리를
더 내리게 하죠.


 

가식해서 뿌리가 실하게 자란 야콘 묘는 비닐 멀칭을 한후 5월 중으로 정식을 하죠. 약 1평에 6-8포기 정도 심으면 적당하죠.
 
 
비닐멀칭 재배로 한창 커가고 있는 야콘의 7월 말 모습이죠.
왼쪽은 개나리 묘목이죠.
야콘을 심은 맨 뒷편의 큰 나무는 오동나뭅니다.


 

비닐멀칭 재배로 한창 커가고 있는 야콘 7월 말의 다른 각도 모습 이죠
 
 
줄기가 햇볕에 좀 시들었네요
이 줄기를 잘라서 찍게 되면 1번 사진과 같죠.
야콘은 원래 다년생이지만 우리나라에선 사계절이
있는 관계로 한해살이로 일생을 마감합니다.

 

 

 

 

우리나라의 야콘수확은

서리가 내릴 무렵인  오는10월초부터  11월 말까지 이루어집니다.

이곳  춘천의 샘밭사두농장도

올해  3.000 여평에 야콘을 재배하였고  ,오는 10월 중순부터  수확작업에 들어갑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하이 동방삭
글쓴이 : 허태풍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