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하이동방삭-샘밭사두농장입니다.
봄농사가 한창 바쁜 4월 중순입니다. 하이동방삭 팔도(체험, 볼거리)농장에서 육묘및 재배되는 야콘의 모습을 살펴 보겠습니다. <하이동방삭-김제농장에서 육묘중인 야콘의 어린 새싹 모습입니다.>
<하이동방삭-춘천 샘밭사두농장에서 육묘중인 야콘의 뇌두와 싹트는 모습입니다. >
<어린 새싹을 포트에 옮겨심어 20일정도 키운후에 5월10일부터~ 30일 이전에 본밭에 정식합니다.>
※ 야콘이 무농약 재배가능이유 ?
예를 들어 마늘은 아무리 코에 가까이 가져가도 마늘 자체의 냄새를 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칼로 상처를 내거나 동물과 곤충이 씹거나 하면 유황을 함유한 화합물이 갑자기 강렬하게 냄새를 만들어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지킨다.
그런데 야콘에는 이 것보다 더욱 훌륭한 성분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야콘이 독특한 성분을 분비해서 병원균과 곤충 등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구조를 최근 연구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다.
1. 야콘잎은 곤충 등에게 갉아 먹히면 하이드록시신나믹산(hydroxycinnamicacid)이라고 하는 물질을 분비한다. 잎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이 물질을 먹고 분비물을 내면 그 분비물이 곰팡이 등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한다. 곧 야콘은 먹이를 대량으로 내어 이것으로 미생물을 길러서 자기 몸을 곤충으로부터 지키는 것이 다.
2. 야콘잎이 곤충 등에게 상처를 입어 분비하는 물질인 '카페산 (caffeic acid)'을 발견했다.
이것을 원료로 해서 미생물이 새로운 항균물질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미생물에 의해 합성된 항균물질 덕분에 식물도 미생물도 함께 곰팡이와 병원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3.야콘외에는 해당화 잎에도 같은 현상이 있으며 잎의 표면에 사는 특정의 세균이 있어 카페산과 다른 물질을 분비하여 항균물질을 만들게 한다. 야콘이 미생물에게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미생물도 야콘을 지켜주는 공생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기적의 건강야채 야콘, 츠카하시테루오>에서 발췌
샘밭사두농장의 2006년도 야콘재배모습(정식한지50 여일 경과)
샘밭사두농장의 2006+년도 (하 야야 야
야콘은 하이동방삭-별이네농장의 야콘모습입니다야콘은 샘밭사두농장의 야콘과 허태풍
<샘밭사두농장의 야콘과 허태풍2006년>
야콘은 최근들어 건강과 무공해 식품으로 환영받는 작물중의 하나입니다.
제대로 길러서 옳게 먹는다는것, 하이동방삭-팔도 먹거리 체험농장이 추구하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여기는 멋과 맛 고물질 ,고품격 예술농업을 만들어 가는 허태풍의 하이동방삭-샘밭사두농장입니다. |
|
'정보-영농, 전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야콘-고품질과 다수확의 실제 (0) | 2007.04.25 |
---|---|
[스크랩] 농작물 파종시기 및 재배법 (0) | 2007.04.21 |
[스크랩] 텃밭에서 재배할수 있는 작물의 파종시기 정리 (0) | 2007.04.06 |
[스크랩] 한국 고건축 박물관 (0) | 2007.04.04 |
[스크랩] 나무재배법 모음 (0) | 200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