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merei' from 'Kinderszenen', Op.15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어린이 정경' 전곡 연속 듣기 (7, 1, 2,3, 4, 5, 6, 7, 8~13순)
Vladimir Horowitz, piano
Trumpet
Toshko Todorov, harmonica
Dorian Todorov, piano
독일의 작곡가 슈만의 피아노곡으로 13곡의 소품으로 이루어진 "어린이의 정경(情景》"중 그 7번째 곡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트로이메라이'이다. 트로이메라이는 독일어로 '꿈'을 뜻하는데 아름다운 멜로디의 반복 속에 점차 꿈의 세계로 빠져들 때의 편안함이 나타나 있는 듯 하다.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면서 만든 음악으로 옛 시절의 꿈을 떠올리게 하는 곡이다.
슈만은 즉흥적인 小曲(소곡)을 여러 개 모아 커다란 조곡으로 꾸미는 일을 많이 하였는데 이 <트로이메라이>의 귀여운 소품도<어린이 정경>(작품15)이라는 곡집에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은 1838년에 완성되었고, 하나의 줄거리를 따라 일관된 주제에 의해 작곡된 것이 아니라, 천진난만한 어린이 세계를 단편적인 표제를 붙여 모은 곡이다. 13곡에는 모두 제목이 붙어 있는데 제목만 보아도 곧 내용을 알 수 있을 만큼 곡에 적합한 제목들로 구성되었다. 이 중 <트로이메라이>는 일곱 번째의 곡으로 느리고 조용한 선율로 유명하다. 애조어린 유화환 선율에 부드러운 멜로디는 어린이들의 아름다운 꿈을 그려내고 있다.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이 작곡한 피아노곡집 작품 15번 <어린이 정경>에는 모두
13곡이 들어 있다. 제목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모든 곡은 슈만 자신의 어린 시절의 추억으로 가득 차 있다.
그 낭만적인 추억들이 곧 음악의 내용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그 중 제7곡 ‘트로이메라이’는 ‘꿈’을 뜻하는 소품으로 F장조, 4/4박자의 비교적 쉬운 곡이며 아름답고 친숙한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피아노곡집 <어린이 정경> 13곡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다.
그러나 소박한 겉모습과는 달리 불규칙적인 박절법(拍節法) 등 독일 낭만파의 성격을 지닌 소품에서 보이는 특유의 복잡한 구성법도 보이고 있어 수준 높은 내용을 지닌 음악으로 다루어진다. 바이올린과 첼로, 그리고 가곡용으로도 편곡되어 널리 애창되고 있다.
악곡 구성 ‘트로이메라이’는 독일어의 traum(꿈)에서 파생된 '꿈을 꿈'이라는 뜻이다.
이 곡의 소재는 단 하나. 상승했다가 다시 하강하는 4마디의 선율이 모두 8번 되풀이된다.
그것뿐이지만 그 짜임의 뉘앙스가 미묘하게 변화되어 마치 꿈을 꾸는 듯한 가볍고 단조로움의 미묘함이 변화를 주고 있다. 슈마네스크한 선율의 얽힘, 특히 내려오는 선율의 모습은 표정이 대단하다. 이 곡의 주제도 근본의 궤적과 관계되고 있다. 그것이 표현하는 표정 변화의 훌륭함은 다음 마디를 살펴보면 분명히 잘 알 수 있다. 즉 제2, 6번 마디, 제10, 14번 마디, 제18, 22번 마디 등이 그것이다.
소곡(piece) (小曲)
규모가 작은 작품. 소품이라고도 한다. 음악용어로는 보다 한정된 뜻으로 쓰이며 다악장이 아닌 독립된 기악곡을 가리킨다. 그것들은 자유로운 형식으로 쓰여지고 거의가 독주곡이다. 베토벤의 《바가델》, 슈베르트의 《즉흥곡》 《악흥의 한때》 등이 선구적인 역할을 한 19세기의 캐럭터 피스는 기악소품의 전형적인 양식이다.
Robert Alexander Schumann (슈만), 1810-1856 (독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코프스키 / 현악 4중주곡 제1번 (0) | 2016.05.07 |
---|---|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꽃들은 모두 어디로 갔는가) (0) | 2016.05.07 |
Le Ruisseau De Mon Enfance(그리운 시냇가) - Adamo (0) | 2016.05.05 |
Lead Me On (조용필의 임~이여 를 번안한 곡) - Al Green (0) | 2016.05.03 |
파가니니 바이얼린 협주곡 4번 (0) | 2016.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