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15년 3월 4일 - 2005년 2월 1일
- 학력 1941년 일본 대정大正대학 문학부 사학과
1939년 연희전문학교 문과 - 경력 2005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1980년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1980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원장
1977년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소장
1964년 한국도서관협회 회장
1962년 연세대학교 문과대학장
1954년 연희대학교 도서관장 - 수상 1995년 위암학술상 수상
1995년 용재학술상 수상
2016.01.18 업데이트 저자 정보 수정 요청
저자 - 민영규
서여(西餘) 민영규(閔泳珪) 선생은
- 1915년 3월 4일(음력 1월 19일)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 292번지에서 조선 고종조 승지承旨를 지낸 통정대부 민직호閔稷鎬의 삼남三男으로 출생.
- 1921년 : 집에서 30리 떨어진 해남 미암산 아래의 가설家設 초당학사草堂學舍에 입학하여 한학을 익힘. 이후 서울로 전학.
- 1928년 3월 : 서울 주교舟橋공립보통학교 졸업.
- 1928년~1933년 : 배재고등보통학교 졸업. 이때 호암湖巖 문일평文一平 선생의 수업에서 많은 영향을 받음.
- 1939년 3월 : 연희전문학교 문과 졸업. 특히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선생에게서 큰 가르침을 받음.
- 1941년 12월 : 일본 대정大正대학 문학부 사학과 졸업.
- 1942년 4월 : 대정대학 사학연구실의 부수副手(현 전임강사)로 근무.
- 1945년 10월~1980년 2월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이시기 초기에 수년 간 동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겸직함.
- 1945년~1952년 : 문교부와 국방부의 고적보존위원회 위원 역임.
- 1945년 11월 : 송석하- 손진태- 홍순혁- 박봉석- 이희승- 이인영- 이병도- 방종현- 이병기-
이홍직- 김두종- 이재욱- 조명기 등과 한국서지학회를 창설하고 간사로 활동.
- 1952년 5월~1954년 10월 : 연희대학교 도서관장.
- 1954년 10월~1955년 9월 : 미국 하버드대학 연경학사燕京學舍에서 객원 연구원
으로 연구. 이때 중국의 호적胡適 선생을 만남.
- 1955년 11월~1963년 9월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이때 국내최초로
도서관학과를 연세대학교에 설립함.
- 1960년~1964년 : 한국도서관협회 회장.
- 1961년 12월~1962년 7월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장.
- 1970년 : 1년간 재차 하버드대학 연경학사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연구.
- 1974년 4월~1977년 4월 :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소장.
- 1976년 5월 : 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예루살렘 입성기入城記》 간행.
- 1977년 5월~1980년 2월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원장.
- 1980년 : 정년 퇴직 후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 1985년 5월 : 구상- 김광균- 김중업- 김태길- 백선기- 송지영- 이성범- 이용희- 이주호
ㆍ1985년 5월 : 구상ㆍ김광균ㆍ김중업ㆍ김태길ㆍ백선기ㆍ송지영ㆍ이성범ㆍ이용희ㆍ이주호
ㆍ이한기ㆍ정비석ㆍ차주환ㆍ최호진ㆍ황순원ㆍ김원룡 등과 회귀回歸 동인회를 결성
하고 동인지《回歸》를 간행하며 활동
- 1988년 3월~1989년 2월 : 국학연구원의 다산茶山 강좌를 맡아 강화학江華學 강론.
- 1990년 여름 : 「초기 선종사禪宗史와 신라불교의 성격 규명」을 주제로 제 1차 촉도장정蜀道長征, 즉 중국 현지 학술탐사 실시. 이기간 중 8월 18일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에서 사천의 학계 중진들 앞에서 「호적 선생과 당대 선종사상의 몇 가지 문제」를 강연. 이것이 뒤에 「사천강단四川講壇」이란 논문으로 발표됨. 이후 1995년 여름까지 전체 6차에 걸쳐 중국 학술탐사 진행함.
- 1994년 10월 : 《강화학 최후의 광경》- 《사천강단》이 우반又半에서 출판됨.
- 1995년 : 위암학술상 수상.
- 1995년 : 용재학술상 수상.
- 1999년 7월~2005년 2월 :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2005년 2월 1일 : 돌아가심
편집 - 조흥윤
<서여 사랑방 작은 인문학>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