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방육보閨房六寶 - 부부의 침실 6가지 보배 | |
| |
식목일의 유래는 신라가 당나라를 한반도에서 몰아내고 완전한 통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나무를 심었는 데서 비롯되었다. 남자가 나무를 잘 심으려면 어떻게 하였는지를 규방육보閨房六寶에 나오는 남자의 조건을 이야기 해보자.
一 앙昻 들앙 남자의 성기는 이뻐도, 땅을 봐도 아니 되느니라 조상의 씨를 뿌리고 자손만대 길이 번창 二 온溫 따뜻할온 남자의 성기도 여자와 마찬가지로 따뜻하다 못해 뜨거울 정도가 되어야 하느니라,
三 두 대頭大 머리두 큰대 남자의 옥경(양물)은 머리가 커야 하느니라 머리가 크고 굵어야 음경에 들어갈 때
四 건작健作 굳셀건 지을작 남자의 옥경은 항상 하늘을 쳐다보고 튼튼하여야 하느니라, 한 말은 족히 되는 주전자를
五 경장莖長 줄기경 긴장 남자의 옥경은 길면서도 단단하여야 하느니 길면서 여물지 못하고 물러서 처지거나 단단하지만
六 지필遲畢 더딜지 마칠필 남자는 아주 천천히, 여자가 완전히 행복을 느낀 후 그때 비로소 씨를 뿌려야 하느니라,
이 여섯 가지를 항상 명심하여 좋은 씨를 뿌려 가문을 더욱 번창시키길 바라느니 항상 옥경을 소중히 여기고
閨房六寶
閨房에 有六寶之說하니 一昻, 二溫, 三頭大, 四莖長
五健作, 六遲畢也라.
所謂昻者는 腎莖之狀이 當如林中雉頭昻天이요.
所謂溫者는 陰莖之溫이當如火山이요.
頭大者는 龜頭之大가 當如喇叭之謂也요.
莖長者는 陰莖之長이 可以到窮極也요.
健作者는 勁直之度가 當如强弓鐵壁이며 作事之時에 出入如雷聲暴雨也요.
遲畢者는 男速女遲나 故爲遲之하야 而一致頂点者也라.
규방의 여섯 보배
규방에 여섯 보배라는 설이 있으니 하나는 앙 ,둘은 온, 셋은 두대, 넷은 경장, 다섯은 건작, 여섯은 지필이라. 이른바 앙이란 것은 음경의 모양이 마치 숲속의 꿩이 대가리를 하늘을 향해 치켜든 것 같음이요.
온이란 것은 음경의 따뜻하기가 마치 화산과 같음이요
두대란 것은 음경 대가리 크기가 마치 나팔과 같음을 일컫는 것이요.
경장이란 것은 음경의 길이가 가히 여자 성기의 밑바닥 끝에 도달할 수 있음이요.
건작이란 것은 굳세고 곧은 정도가 마치 강한 활이 쇠로 만든 벽을 꿰뚫는 것 같고.
지필이란 것은 절정에 도달하는 것이 남자는 빠르고 여자는 늦으나 남자가 일부러 늦게 하여 함께 절정에 도달하는 것이다. |
'살고, 웃고 그리고 삐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연아 "긴장했지만 좋은 결과에 기뻐요" (0) | 2009.10.17 |
---|---|
왜 자꾸 더듬어요...? (0) | 2009.10.16 |
[스크랩] 잠승만도 못한 놈~^*^ (0) | 2009.07.15 |
[스크랩] 직업별로 싫은 사람 (0) | 2009.07.10 |
[스크랩] 재미있는 합성 사진 (0) | 2009.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