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동방삭- 샘밭농장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중심으로
작물의 효능및 그동안 민간에서 사용되어진 요법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1.사두오이
SNAKEGOURD(사두오이,뱀바가지 ,뱀오이,중국오이,샘밭사두)
과 : Cucurbitaceae
속 : Trichosanthes
종 : kirilowii
관습화된이름: Karo (To-Karasu-Uri), Kua Lou, T'Ien Kua
특징: 항생작용, 가래나오게하는 작용, 완화제, 함염증, 수렴제,
진해제, 강장제
출처- 글, 그림: 하이 동방삭
2.동아호박
1. 동과(동아)란 ?
동아는 정과로 만들어져 조선왕조 궁중음식으로 쓰였으며 현재는 전북 순창지역에서 재배되어 장아찌나 정과로 만들어져 적은 양이 시판되고 있다. 한국식품개발연구원에서 동아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1998년도부터 행해졌으며
동아분말의 비만, 변비 억제효과와 콜레스테롤 저하, 당뇨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소재로 쓰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
출처 :글_ http://www.waxgourd.com 충북 영동군에 있는
동아연구소 홈피, 그림-하이 동방삭
3.수세미
어린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하고 성숙한 섬유는 주로 철도차량의
차축급유의 버트,
선박기관과 갑판의 세척용, 신 바닥의 깔개,
여성용 모자의 속, 슬리퍼, 바구니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이 섬유질조직을 수세미로 이용한 데서 열매의 이름도 비롯되었다.
수세미오이 줄기의 절단면에서 나오는 수액은 식용이 가능하며
화장품의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
번식은 씨로 하는데 봄에 호박을 심는 것과 같이 심으며
여름에는 그늘을 드리워 시원하므로 정원수로도 심는다.
하지만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토양이나 기후 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기관지 천식. 아토피. 두통. 견비통. 변비. 장염. 동상. 이뇨. 자궁출혈. 부종. 축농증. 비염. 건위.
정장 등의 한약재료로 쓰인다.
출처- 이슬 수세미농원, 그림- 하이 동방삭
4.작두콩
중요 비타민 분석표 (100mg)
===========================
비타민종류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3 비타민C
일반콩 1 0.69 0.17 3.2 1
작두콩 137 1.90 0.90
시골 뜨락이나 싸리문 및 논두렁에 자생하는 한국산 작두콩(일명:도두콩)이 불특정 암에 대한 항암작용이 있음이 확인돼 암 예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본래 작두콩은 중국 남부, 인도,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지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충청 이남에서 최초로 노지 재배됐으며 현재 중부 이북에서 시설재배가 이뤄지고 있다.
이름 그대로 크기가 작은 작두만한 콩으로 꼬투리 길이 20~30cm이고 콩 중에서는 제일 크다.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소에 따르면 건조한 작두콩 100g에는 318㎈, 수분 14.
9%, 단백질 27.1g, 지방 0.6g, 탄수화물 53.8g, 섬유질 11.6g, 회분 3.6g, 칼슘 97.
9g, 마그네슘 70mg, 구리 0.5g, 아연 2.0mg, 망간 1.0mg이 함유되어 있다.
또 다른 콩에는 대체로 없는 비타민 A, C도 다량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B군도다른 콩의 4~5배 가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작두콩에서 분리한 혈구응집소에는 콘카나발린 A라는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해독작용, 항종양 특성이 있으며 변형세포에 대한 강한 분열 억제작용과독성 억제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두콩 성분 중 '나이아신'으로 불리는 비타민 B3는 혈액순환촉진과 혈압강화효과 및 콜레스테롤 저감효과가 있다고 한다.
최근 서울대학교 세포주센터로부터 분양받은 자궁경부암세포주(SNU778), 위암세포주
(SNU719), 간암세포주(Hep3B) 및 구강암세포주(A253), 혈액암세포주(Jurkat-T)에 대한 실
험실 실험 결과 작두콩 추출물은 매우 뛰어난 항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작두콩 추출물이 암세포의 50%를 죽일 수 있는 효능인 IC50은 낮은 농도에서도저해 활성이 뛰어나 것으로 나타나 특히 한국 성인 남성의 간암 예방치료에 효과가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콩보다는 현미 또는 보리밥에 여름철에 생산되는 작두콩을 혼식하는 것이한국성인의 다양한 암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작두콩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같은 분량(1:1)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위에 언급한 다양한 세포주에 대하여 동일한 효과를 나타냈다.
보통의 항암제는 위암이나 간암 등 특정한 암에만 효능이 있지만 작두콩은 5종류의 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작두콩을 혼식하면 여러가지 불특정 암의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글:농사를 사랑하는 모임, 그림: 하이 동방삭
5.여주
모모르디카주요성분에 대한 효능소개Ⅰ
당분 연소 촉진하고 췌장 기능 활성화
여주 - 열매와 씨에 ‘식물인슐린’ 다량 함유
일본의 오키나와는 암 뇌졸중 심장병 등의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고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장수자가 많은 지역이다. 이 곳에서 예로부터 많이 먹고 있는 식품의 하나가 여주다.
여주는 박과의 덩굴식물로 정식 학명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Momordica charantia)´다.
원산지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인도를 비롯한 열대 아시아 지역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옛날 우리 나라의 시골 집 울타리에 관상용으로 심었던 것이 지금은 구미 등 경제 선진국들에서 인기 높은 건강 농산물이 되고 있다.
본래는 6∼8월에 열매를 맺는 여름 야채다. 한여름의 햇볕을 듬뿍 받고 자라 열매 맺은 것을 덜 익은 채로 수확한다. 녹색이 짙고 혹 같은 돌기가 총총하게 많을수록 쓴맛이 강하고 유효 성분도 많이 들어 있다.
영어명은 비터 멜론(bitter melon).
원래 여주는 더위로 인해 식욕이 없거나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먹었다.
더위로 식욕이 없을 때 여주를 먹으면 쓴맛이 위를 자극하여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이 생기도록 한다. 또한 여주엔 건위·정장 작용도 있다.
여주는 동남 아시아의 전통 의학에선 피부병, 야맹증, 기생충, 류머티스, 통풍, 신체 허약 등에 효과가 있는 식품으로 여겨 이용해 왔다.
그 밖에도 체내에서 비타민A로 바뀌는 베타-카로틴과 칼륨 철 등의 미네랄도 많다.
그런데 여주의 성분들 가운데서 특히 주목받고 있는 것은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식물인슐린(p-insulin)과 카란틴(charantin)이란 성분이다.
식물인슐린은 체내에서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펩타이드의 일종으로 여주의 열매와 씨에 많이 들어 있다.
식물인슐린은 간에서 당분(포도당)이 연소되도록 돕고 또한 포도당이 체내에서 재합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카란틴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지용성 성분이다.
이들 두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여주가 근년 당뇨병 환자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세계 각국에서 연구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당뇨병은 췌장에 있는 랑게르한스섬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하는 인슐린(혈당치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양이 크게 줄어들거나 췌장이나 인슐린 자체의 기능이 약해져서 혈당치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병이다.
근년 이 당뇨병에 걸리는 사람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한편으론 당뇨병에 효과 있는 식품들이 과학적으로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받고 있는 것이 여주다.
여주에 당뇨병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예를 들면 일본 도쿄의과대학 연구진은 선천적으로 혈당치가 높은 쥐들에게 일정한 농도의 여주 추출 엑스를 먹인 결과 겨우 1주일 만에 혈당치가 내려갔다고 보고했다.
방글라데시에선 사람을 대상으로도 시험했다. 당뇨병 환자 100명(35∼73세)에게 여주 주스를 마시도록 하고서 포도당 부하 시험을 실시한 결과 포도당 부하 전과 마찬가지로 부하 후에도 혈당치가 떨어졌다.
또한 여주 분말 엑스를 당뇨병 환자들에게 매일 섭취하도록 하면서 혈당치를 재 본 결과 11일 만에 환자의 혈당치가 약 10% 떨어졌다는 보고도 나와 있다.
그 밖에도 여주가 당뇨병 초기에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이바지한다는 것이 일본 스즈카(??의료과학대학 연구진(미우라 등)의 연구로 밝혀졌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인슐린은 충분히 분비되는데도 그 작용이 약해서 혈액 속에 있는 당이 세포 속으로 잘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여주에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동물 실험에서 확인된 것이다.
또한 여주를 먹으면 당이 근육에 잘 흡수되어 체내 에너지 연소 효율이 높아진다. 그렇게 되면 당뇨병 환자 특유의 무력증이 개선돼 당뇨병 치료에 반드시 필요한 운동 요법도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여주엔 비타민C나 베타-카로틴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당뇨병의 합병증인 망막증이나 신증(x
? 심근경색 뇌졸증 등의 혈관성 질환에 대한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여주의 당뇨병에 대한 효과는 다른 어떤 식품보다도 커서, 먹는 인슐린 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여주는 게다가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혈당 강하제와는 달리 부작용이 전혀 없다.』
출처- 글:나눔농장, 그림:하이 동방삭
6.야콘과 돼지감자의 차이
야콘과 돼지감자는 국화가 식물이란 점에서는 같습니다.
돼지감자는 국내에 도입된지가 오래되었고
야콘은 국내에 도입된지가 20여년 되었습니다.
돼지감자엔 이눌린이 수분을 제외하고 주성분이고
야콘에는 올리고당이 수분을 제외하고 주성분입니다.
특히 야콘에도 이눌린이 풍부하다고 하시는 분이 종종
있는데 야콘에는 이눌린이 전혀 없습니다.
돼지감자와 야콘은 괴경으로 번식되는 점은 같으나
야콘에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괴근이 더 있습니다.
돼지감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하며 야생에 적응했으나
야콘은 아직 월동할수 있도록 적응하지 못했습니다.
참고로 당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분자들이 서로 결합되어
올리고당도 되고 이눌린도 되고 녹말(전분)이 되기도 합니다.
올리고당이든 이눌린이든 녹말이든 전부 구성 원소는 비슷하거나
동일하지만 그 결합의 길이가 다른 것입니다.
이세상의 모든 것은 기본적으로 100여개의 원소로 이루어졌지만
수도 헤아릴수 없는 것들이 만들어지듯
포도당과 과당도 서로 연결되는 형태나 길이에 따라서
수많은 조합들을 만들어 냅니다.
그중에서 대략 30개 정도의 기본단위 당이 결합된 것을
이눌린이라고 하고 올리고당중 특히 프럭트올리고당은
그보다 좀 적은 결합 길이(기본단위의 당이 적은개수)를 갖고 있습니다.
특히 야콘에는 올리고당중에서 결합 길이가 3-10여개의
범위인 프럭트올리고당이 많습니다. 이 프럭트올리고당이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하면 변할수록 숙성이 되었다고 하고
단맛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돼지감자의 이눌린은 분해되면 과당만으로 분해되고
야콘의 올리고당중 특히 프럭트 올리고당은
분해되면 과당과 포도당으로 분해됩니다.
돼지감자엔 이눌린이 많고
야콘에는 올리고당이 많고
돼지감자의 이눌린이나 야콘의 프럭트올리고당
은 사람몸에서 소화흡수가 되지않는 난소화성 당이므로
당뇨 환자가 드셔도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한번 강조합니다. 특히 질문하신분은 야콘에 이눌린이 풍부하다고
적으셨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을 꼭 기억해두세요.
일부 자료에서 이눌린이 풍부하다고 한것은 오류이니
더이상 퍼옮기지 마시고 심지어 일부 식자층에서조차
(TV 방송중 한의사분도) 그런 것을 언급하셨는데 그것 또한
맞는 표현이 아니니 참고하세요.
돼지감자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고
야콘의 원사지는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입니다.
이것도 차이가 되겠군요.
아직도 돼지감자와 야콘의 차이점 보다도 비슷한점이
많다고 생각하시나요?
출처- 글:야콘사랑, 그림:하이 동방삭
========================================================
깊은 겨울이 마음을 더욱 움츠리게하는 정해년 1월 어느날입니다.
잘먹고 잘 사는...도사가되는길이
하이 동방삭이 추구하는 세상입니다.
여기는 멋과맛
예술농업을 지향하는 허태풍의 하이동방삭-샘밭사두농장입니다.
감사합니다.
'정보-영농, 전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야콘의 재배와 용도2 (0) | 2007.02.09 |
---|---|
[스크랩] 노니나무의 열매와꽃 (0) | 2007.01.21 |
[스크랩] 2007년도 하이동방삭-체험농장 후보가족들 (0) | 2007.01.12 |
[스크랩] 2007년도 하이동방삭-체험농장 후보가족들 (0) | 2007.01.12 |
[스크랩] 한옥 건축순서 (0) | 2007.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