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처럼 바람처럼

지금 수도권 변방, 다시 또 혼돈 속에서 봄을 아파하며 노래한다. / Wolfgang Amadeus Mozart: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장전 2019. 4. 9. 06:27



그해 봄/ 도종환


그해 봄은 더디게 왔다 
나는 지쳐 쓰러져 있었고 
병든 몸을 끌고 내다보는 창밖으로 
개나리꽃이 느릿느릿 피었다. 생각해보면 
꽃 피는 걸 바라보며 십 년 이십 년 
그렇게 흐른 세월만 같다 
봄비가 내리다 그치고 춘분이 지나고 
들불에 그을린 논둑 위로 
건조한 바람이 며칠씩 머물다 가고 
삼월이 가고 사월이 와도 
봄은 쉬이 오지 않았다 
돌아갈 길은 점점 아득하고 
꽃 피는 걸 기다리며 나는 지쳐 있었다. 
나이 사십의 그해 봄


- 시집『사람의 마을에 꽃이 진다』(문학동네, 2006)
...................................................................


봄꽃의 상징은 역시 개나리와 진달래다. 개나리와 진달래가 유독 정겨운 것은 화려하진 않지만 해맑은 빛으로 옹기종기 무리지어 피워낸 그 소박한 아름다움 때문이리라. 대구에서는 이미 초록으로 단장한 개나리가 서울에서 보니 지금이 한창이다. 어제는 빛나는 햇살로 강변의 와락 핀 개나리 무리가 눈길을 끈다. 그 옆으로 목련도 화사하게 벌어졌다. 등고선이 그려지는 골마다 스멀스멀 진달래도 피어나고 있다. 그야말로 만화방창 봄의 절정이다. 황지우의 ‘꽃피는, 삼천리금수강산’처럼 모든 봄꽃들이 총망라하여 숨 가쁘게 핀다.


요긴하게 꼭 피어야할 곳에서 최선을 다해 펴서 형식적으로는 ‘삼천리금수강산’이 맞다. 그 가운데 미아리 점집 고갯길에 헤프게 핀 개나리와 수유리 묵은 동네 돌축대 아래로 길게 늘어진 개나리는 불안한 내 청춘의 허파가 노랗게 물들 때 함께 피었던 꽃이다. 사람 떠나고 지붕이 폭삭 내려앉은 성주군 선남면 오도리 초가 곁에 엉망진창으로 피어있던 꽃도 개나리였고, 내 나이 열다섯 즈음 대구 방천 뚝방에 도회로 줄행랑 친 계집아이처럼 눈부시도록 수줍게 피었던 꽃도 노란 개나리였다.


그런데 도종환 시인의 ‘나이 사십의 그해 봄’은 ‘개나리꽃이 느릿느릿’ 피는 게 불만이었던 모양이다. 시인의 나이로 환산하면 대충 25년 전이다. ‘그해 봄’의 화신이 실제로 늦게 올라왔을 수도 있겠으나, 시인은 아마 몸도 마음도 아파있었던 것 같고 해직교사 신분이었다. 봄이 더디게 온다고 느낀 것은 당연한 정서였겠고, 쉬이 오지 않는 봄이 시인을 더욱 지치게 하였으리라. 그때의 사정은 ‘꽃 피는 걸 바라보며 십 년 이십 년 그렇게 흐른 세월만’ 견뎠으리라. 그렇듯 봄꽃이 모든 이에게 마냥 기꺼운 것만은 아니다.


내게도 개나리 피는 걸 보며 흐른 세월이 늘 환할 수만은 없었다. ‘응답하라1994’를 되돌려보면 그해 김일성이 진짜로 죽었고, 성수대교가 폭삭 주저앉았으며, 아현동에선 대형 가스폭발사고가 있었다. 서태지와 이이들의 ‘교실이데아’가 쉼 없이 라디오 전파를 탔으며, 드라마 ‘서울의 달’이 사람들을 TV모니터 앞으로 불러들였다. 그땐 ‘돌아갈 길은 점점 아득하고 꽃 피는 걸 기다리며’ 우리 모두가 지쳐갈 무렵이었다. 


내 ‘나이 사십의 그해 봄’도 그랬다. 그해 서울을 떠났고 뒤틀렸고 어수선했다. 지금 수도권 변방, 다시 또 혼돈 속에서 봄을 아파하며 노래한다.


권순진



이미지: 식물, 꽃, 나무, 하늘, 실외, 자연